본문 바로가기

문학

문학작품 속의 비극적 요소를 통해 본 세익스피어의 작품 분석

반응형

문학작품속 비극의 정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모방과 창조를 논하며 지극의 정의를 말한다.

<시학>
6장 비극의 정의와 그 질적 요소의 분석
비극은 진지하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완결된 행동을 모방하며, 듣기 좋게 맛을 낸 언어를 사용하되 이를 작품의 각 부분에 종류별로 따로 삽입한다. 비극은 드라마 형식을 취하고 서술 형식을 취하지 않는데, 연민과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으로 바로 이러한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실현한다.
비극에서 우리를 가장 감동시키는 것은 급반전과 발견인데, 이것들은 플롯에 속하는 부분이다.
비극은 행동의 모방이다.
행복과 불행도 행동에 있고, 비극이 겨냥하는 것도 모종의 행동이지 성질은 아니다. 또한 인간의 성질은 성격에 의해 결정되지만, 행복과 불행은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드라마에서의 행동은 성격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행동을 위하여 성격이 드라마에 포함된다.


13장 비극의 주인공
연민의 감정은 부당하게 불행을 당하는 사람을 볼 때 느끼고, 공포의 감정은 우리 자신과 비슷한 사람이 불행을 당하는 것을 볼 때 느낀다.
훌륭한 플롯은 단일한 결말을 가져야지, 일부 사람들이 말하듯 이중의 결말을 가져서는 안 된다. 주인공의 운명은 불행에서 행복으로 바꾸어서는 안 되고 행복에서 불행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비행 ㄷ애문이어서는 안되고 중대한 하마르티아(과실) 때문이어야 한다. 그리고 주인공은 우리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은 인물이거나 그보다 뛰어난 인물이어야지 그보다 못한 인물이어서는 안 된다.

비극의 가장 큰 특징은 3가지로 급전”, “발견”, “파소스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 추가한다면 고귀한 주인공 결함을 추가할 수 있다.

 

비극의 전개상황

전개상황 내용
주인공의 결함 운명적이든, 성격적이든 자신이 지위와 관계의 한계가 있어야 한다.
2. 급전 주인공의 결함이나 극의 전개가 빠르게 진행되면 반전이 있어야 한다.
3. 발견 급전된 극의 전개 속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한계나 사고의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
4. 파토스 수동적 상태로 감정과 사고의 격앙에 의하여 자신의 고통(신체적, 정신적)으로 결국 해소의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
5. 카타르시스 연민과 공포에서 오는 쾌감이 해소되면서 느끼는 감정으로 신체적, 정신적 해소가 관객과 일치하게 된다.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이 왜 4대 비극에 못들어간 이유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수동적 상태로 감정과 사고의 격앙에 의하여 자신의 고통(신체적, 정신적)으로 결국 해소의 국면에 접어들게 되지만, 카타르시스 보다는 개인의 슬픔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 분석

<맥베스>

세익스피어의 <멕베스>에서 멕베스는 운명에 저항하지만, 결국 패배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를 보면서 우리는 해방감(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현대 문학의 변화

고대 그리스 비극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운명적 결함을 갖고 있다. 또한 중세 셰익스피어 비극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성격적 결함으로 인하여 비극으로 가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로 오면 주인공이 갖는 결함은 고귀한 한 사람의 결합이라기보다는 만인이 같이 공통으로 느끼는 결합이 된다. 비극의 전개 초반부터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야기한 비극의 요소에서 배제되기 시작하면서 현대에는 비극의 범주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한 고대나 중세에는 특정 상류를 위한 대상이었다면 이제는 대중과 홍보, 계몽의 드라마로 사회적 비극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희비극 tragicomedy

비극과 희극을 융합시킨 작품으로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는 대부분 결말이 파토스에 의하여 새드 엔딩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세의 셰익스피어 시대부터 19세기의 비극은 고대 그리스 비극과 달리 해피 엔딩을 주로 하고 있다. 여기에 19세기 후반 사실주의를 기반으로 사회적 문제들이 드라마에 중심 주제로 자리 잡으면서 독립적으로 공연되던 것이 혼합되어 희극적 요소가 부조리의 풍자로 지적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주었던 것이다. 그래서 희비극은 존재의 비극적 상황에 희극적 웃음을 통해 관객에게 더욱 강한 통렬함을 주기도 하였다.

 

카타르시스의 정의

카타르시스의 정의

(문학) 비극속의 연민과 공포를 통해서 마음이 정화되고 쾌감을 느끼는 일.

(심리학) 자기가 직면한 고뇌 따위를 밖으로 표출함으로 강박 관념을 해소시키는 일

 

예문) 주인공의 비극적인 죽음을 보며 관객들은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등장인물을 자신과 일체화 시킬 때 카타르시스가 생기게 된다.

실패한 사람을 보면 내 현실을 만족하는 카타르시스가 찾아온다.

약하지만 당당한 그의 모습을 보며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출처 : 위키백과 (카타르시스 정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