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학

(24)
리처드 니스벳 <생각의 지도>를 통한 동,서양 문학의 차이 모든 문학작품 속에는 시대적 배경,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었으며 시대의 가장 진실한 기록이었다. 따라서, 문학은 오랜 세월이 지난 후 그 스스로가 역사가 되곤 하였다. 사람들이 문학을 읽는 것으로 세계관에 변화를 가져오며 타자에 대한 감수성을 바꾸기도 한다. 리처드 니스벳의 는 동양과 서양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을 설명한다. 동양인과 서양인이 동일한 주제에 대하여 생각하는 방법이 서로 다르다는 점은 학계에서도 이미 많이 알려져 왔다. 지금부터 동양과 서양을 구분하여 서로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관점을 문학작품을 통해 사고의 차이에 대해 말하고, 문학작품을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다. ■ 성경과 논어 비교 우선 동양의 대표적인 공자의 유교적 가르침을 담은 , 노자의 도가사상을 담은 그리고 서..
아서 밀러 <어느 세일즈맨의 죽음> 을 통한 현대의 비극문학 1. 탐구목적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서 비롯된 비극의 오래된 규칙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고 있다. 소포클래스의 부터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과 아서 밀러의 까지 그 시대의 대표적 비극 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비극적 요소가 현대 문학에서 어떤 방식으로 변화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비극의 정의 1) 아리스토텔레스 비극의 정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에서 모방과 창조를 논하며 희극보다는 비극을 진정한 이야기로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의 가장 큰 특징으로 “급전”, “발견”, “파소스”을 말하며, 여기에 하나를 더 추가한다면 “고귀한 주인공 결함”을 말하고 있다. 6장 비극의 정의와 그 질적 요소의 분석 비극은 진지하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완결된 행동을 모방하며, 듣기 좋게 맛을 낸 언어를 사..
(동서양 문학 비교) 서양의 D.H.로렌스와 동양의 채만식을 윤리적으로 비교 탐구 동서양 윤리의 관점 차이와 이에 따른 작품 반영 동양과 서양의 윤리 의미와 차이를 보면서 동서양 작가들이 작품 속에 나타나는 도덕적 윤리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한다. 동서양 윤리의 의미를 파악하면서 차이점을 알아보고, 동서양 윤리 사상이 작품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서양 작가인 D.H.로렌스와 동양 작가 채만식의 작품을 통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01. 동양과 서양의 도덕적 윤리의 관점 윤리학으로 볼 때 ‘도덕적’이라는 말은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우선 이 말은 옳은 것과 그른 것, 좋은 것과 나쁜 것에 관한 판단, 즉 가치판단을 하는 인간의 능력을 뜻한다. 또 이 말은 윤리적인 기준과 일치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서양의 도덕적 윤리) 서양에서 윤리학에 대한 책을 최초로 저술한 아리스토텔..
문학작품 속의 비극적 요소를 통해 본 세익스피어의 작품 분석 ■ 문학작품속 비극의 정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에서 모방과 창조를 논하며 지극의 정의를 말한다. 6장 비극의 정의와 그 질적 요소의 분석 비극은 진지하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완결된 행동을 모방하며, 듣기 좋게 맛을 낸 언어를 사용하되 이를 작품의 각 부분에 종류별로 따로 삽입한다. 비극은 드라마 형식을 취하고 서술 형식을 취하지 않는데, 연민과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으로 바로 이러한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실현한다. 비극에서 우리를 가장 감동시키는 것은 급반전과 발견인데, 이것들은 플롯에 속하는 부분이다. 비극은 행동의 모방이다. 행복과 불행도 행동에 있고, 비극이 겨냥하는 것도 모종의 행동이지 성질은 아니다. 또한 인간의 성질은 성격에 의해 결정되지만, 행복과 불행은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드라마에서..
현대영어의 변화와 진화 - 페미니즘 현대영어도 계속 변하고 있는데 가장 큰 변화는 끊임없는 새로운 단어의 생성과 도입이다. 그리고 문법에도 점진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비교적 최근의 예를 하나 들면 1980년대 이전에는 성별이 드러나지 않는 대명사 everybody, everyone을 문법적으로 남성 대명사로 지칭했다. 그래서, ‘모든 사람이 자기 자신의 의견이 있다.’라는 문장을 영어로 표현할 때 Everybody has his own opinions. 남성대명사 his로 지칭하였으나, 1970년대 언어 속의 성차별을 없애자는 페미니즘 운동으로 1980년대부터는 남성과 여성 대명사를 모두 사용하여 Everybody has his or her own opinions. 또는 Everybody has their own opin..
사피어 - 워프 가설 사피어-워프 가설은 한 사람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과 행동이 그 사람이 쓰는 언어의 문법적 체계와 관련이 있다는, 언어학적인 가설이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한다는 주장은 6세기 인도의 시인 바르트리하리가 했었고, 그 이후 인도에서 논의가 되어 왔었다. 빌헬름 폰 훔볼트 역시 비슷한 주장을 그의 수필에서 한 적이 있다. “인간은 객관적 세계에서만 사는 것도 아니고 보통 이해하는 것처럼 사회활동의 세계 속에서만 사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표현 수단이 되는 특정한 언어에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사람이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본질적으로 현실에 적응할 수 있고 언어는 의사전달이나 사고의 반영의 특정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우연한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환상이다. 사실인즉 현실 세계는 상당한 정도로 그 집단의 언어습..
서양 문명의 시대별 문학사조 흐름 - 4 (현대문학) 4. 서양의 현대 문학 근대와 현대의 구분은 관점이나 전문 분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든 부분이다. 서양사에서는 근대를 1차대전 이전까지를 일반적으로 말하지만, 문학에서 근대와 현대를 명확히 구분 짓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20세기를 기준으로 근대와 현대를 구분하였다. 4-1) 상징주의 • 시기 :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주로 프랑스 시인들을 중심으로 나타난 사조. 유미주의처럼 사실주의에 대한 반동(反動)이며 유미주의의 일면을 계승, 심화시킨 것이다. 자연주의나 사실주의는 객관적 현상을 있는 그대로 옮기는 데 불과하나, 이것은 하나의 문헌이나 사진이지 예술품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지성화된 감성으로 내면 세계를 통해 정신 세계의..
서양 문명의 시대별 문학사조 흐름 - 3 (근대문학) 3. 서양의 근대 문학 근대사회의 특징은 인간중심주의와 개인주의 그리고 합리주의이다. 당시 부르주아 계급이 주도한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시민사회가 막 형상되기 시작한 때를 근대사회의 시작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양의 근대로 들어오면서 문학 예술에 나타난 사상적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문예사조가 특정한 시기를 지배하는 문학 예술의 규범으로 볼 수 있지만, 서로 경계가 모호하거나 중복된 경우도 있다. 3-1) 고전주의 • 시기 : 17세기 ~ 18세기 서양의 17~18세기 문예 부흥기(르네상스)에 유럽 예술 전반에 나타났던 경향으로, 르네상스는 그리스 로마의 내용을 본받으려고 노력하고 정신적인 측면에서 부흥시키고자 했다면, 고전주의는 그리스 로마의 형식을 추종하려고 했다. 그래서, 아리스토..

반응형